2023. 10. 10. 00:57ㆍ카테고리 없음
중동전쟁 배경
- 영국의 맥마흔 선언: 아랍인이 전쟁에 참여할 경우 아랍인의 독립국가 건설을 지지한다는 선언 (1915)
- 영국의 발포어 선언: 제 1차 세계대전 초기에 유대인부자(로스 차일드가문)를 움직이면서 제시한 선언,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원하겠다고 밝힘. (1917)
영국은 아랍과 유대인에 같은 땅을 두고 서로 다른 약속을 하며 1차 세계대전에 동원시킨다. (당시 팔레스타인땅은 영국이 통치하고 있었으며, 주된 인구는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고 유태인은 소수가 살고 있었다. ) 1947년 유엔은 팔레스타인 지역을 유대인 국가, 아랍 국가로 분리하되 예루살렘은 국제공동 통치구역으로 두는 '팔레스타인 분할안'을 통과시킨다. 예루살렘은 누구의 소유도 아닌 '국제도시'가 될 계획이었지만 아랍 측의 거부로 결국 실행되지는 못했다. 1948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영국 통치자들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철수했고, 그 뒤 유대인 지도자 벤 구리온은 이스라엘 국가 건국을 선언했다.
중동전쟁
|
기간
|
1차
|
1948년 5월 16일부터 1949년 2월 24일
|
2차
|
1956년 10월 29일부터 1956년 11월 7일
|
3차
|
1967년 6월 5일부터 6월 10일
|
4차
|
1973년 10월 6일부터 10월 25일
|
1차 중동전쟁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에 유엔이 영국의 팔레스티나 위임 통치 종결과 분할 안을 결의하자 1948년 이스라엘은 팔레스티나에서 독립을 선언하였다.
이에 이집트 등 아랍 각국 군대가 이스라엘로 즉시 침공하면서 전쟁이 발발되었다. 이 당시 공격한 나라들은 이집트,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라크로 5개국이었다.
처음에는 무기체계가 좋지 않았던 이스라엘이 불리한 형국이었으나 아랍권이 분열되면서 승기가 이스라엘 쪽으로 넘어오기 시작했다. 스웨덴의 중재로 휴전 협상을 진행하였으나 미국과 소련이 이스라엘에 현대식 군사 장비를 지원하면서 이스라엘이 승리하였다.
이로 인해서 이스라엘의 영토는 증가했고 팔레스타인은 영토가 줄어들었으며 약 80만 명에 달하는 난민이 발생하였다.
2차 중동전쟁
2차 중동 전쟁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 전쟁으로 인해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에 대한 적개심을 더욱 키우게 되었고, 이스라엘은 아랍 국가들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강화하게 되었다.
또한, 2차 중동 전쟁은 미국과 소련의 중동 개입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은 이스라엘을 지원하고, 소련은 아랍 국가들을 지원함으로써 양측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유엔은 2차 중동 전쟁을 계기로 평화 유지 활동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유엔은 평화 유지군을 파견하여 중동 지역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2차 중동 전쟁은 현재까지도 중동 지역의 평화를 위협하는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다.
3차 중동전쟁
3차 중동전쟁은 6일 전쟁이라고도 하는데 1967년 6월 5일 날 발발하고 10일에 휴전이 되었다. 시리아 혁명으로 인하여 아랍 민족주의가 고조되자 이스라엘이 이집트와 시리아 등을 공격하였다.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이집트는 시나이 반도를 뺏겼다. 팔레스타인 해방전선은 미국에 우호적인 이집트와 요르단에 폭격을 가했다. 요르단은 미국 전투기로 팔레스타인을 공격했다.
4차 중동전쟁
4차 중동 전쟁, 또는 욤키푸르 전쟁은 1973년 10월 6일부터 10월 25일까지 이스라엘과 이집트, 시리아 간의 전쟁이다.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여 시작된 전쟁으로, 이스라엘이 승리를 거두었으나, 양측의 피해가 컸던 전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