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공무원 봉급표 실수령액

2022. 12. 14. 21:23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에서 가장 안정적인 직업이라 다들 말 하는 직업은 공무원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처럼 공무원은 정년이 보장되며 가장 중요한 급여를 밀리지 않고 매달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2023년 공무원 월급 인상률에 관한 내용이 많이 나오는데요 오늘은 2023년에는 공무원 월급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기준 공무원 봉급표 

호봉
1급
2급
3급
4급
6등급
5급
5등급
6급
4등급
7급
3등급
8급
2등급
9급
1등급
1
4,189,900
3,771,900
3,403,000
2,916,600
2,606,400
2,150,200
1,929,500
1,720,300
1,686,500
2
4,336,700
3,911,800
3,528,900
3,035,700
2,711,700
2,250,200
2,017,500
1,803,900
1,709,600
3
4,487,300
4,053,600
3,658,600
3,156,700
2,821,100
2,353,400
2,110,700
1,892,000
1,748,300
4
4,641,300
4,196,800
3,789,200
3,280,600
2,934,700
2,458,800
2,208,700
1,982,000
1,802,400
5
4,799,000
4,341,900
3,921,900
3,406,200
3,051,300
2,567,400
2,310,100
2,075,500
1,872,000
6
4,958,600
4,487,200
4,055,900
3,533,000
3,170,300
2,679,000
2,414,000
2,171,300
1,959,500
7
5,120,600
4,634,500
4,191,500
3,660,900
3,291,100
2,790,900
2,518,500
2,267,400
2,046,500
8
5,284,000
4,781,500
4,327,500
3,789,500
3,413,400
2,903,100
2,623,800
2,359,800
2,130,400
9
5,449,700
4,929,600
4,464,600
3,918,500
3,536,100
3,015,700
2,723,900
2,447,900
2,210,700
10
5,616,300
5,077,500
4,601,600
4,047,300
3,659,700
3,121,300
2,819,500
2,531,300
2,288,000

2022년 12월 기준, 일반직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의  1~10호봉까지의 봉급표는 윗 표와 같습니다.

 

호봉이 상향하면 할수록 공무원 봉급 역시 오르기에 자연스레 공무원 연봉도 높아진다는 점 그리고 위의 공무원봉급표만을 보았을 땐  "공무원 급여.. 내가 생각한 것보다 적은데.."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실제로 받게 되는 공무원실수령액은  봉급표 금액 이상의 금액을 받게 됩니다.

공무원실수령액에는 공무원봉급표 금액 말고도 추가적인 부가 급여가 포함되는데요,그 부가 급여가 바로, 공무원 수당이며! 공무원 보수는 공무원봉급표에 있는  봉급(기본급)액에 각종 수당이 더해지게 됩니다.

수당 14종
실비변상 등 4종

  • 상여수당 (3종) - 대우공무원수당, 정근수당, 성과상여금
  • 가계보전 수당 (4종) -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 주택수당, 육아휴직수당
  • 특수근무수당 (4종) -위험근무수당, 특수업무수당, 업무대행수당, 군법무관수당
  • 초과근무수당 등 (2종) - 시간외근무수당, 관리업무수당
  • 특수지근무수당
  • 정액급식비 (월 14만 원)
  • 직급보조비
  • 명절 (설날·추석) 휴가비 (월봉급액의 60%)
  • 연가보상비 (1급이하, 연가보상일수는 20일

참고로 공무원 수당이란 직무 여건 및 생활여건에 따라 지급되는 부가 급여를 말하며 14가지의 수당과 4종의 실비변상으로 총 18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중 상여수당 - 정근수당과 초과근무수당 및 실비변상 4종은 모든 공무원이 지급받을 수 있지만, 기타 수당의 경우는 공무원 종류와 수당별로 지급 대상이 다르다는 점 알고 계셔야 하며 뿐만 아니라 참고로 가계보전수당-가족수당은 공무원의 부양가족만 있다면 어떤 공무원이든 공무원 종류에 관계없이 함께 지급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2023년 공무원 월급 인상률은?

정부에서 지난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2023년 예산안'에 따르면, 2023년 공무원 월급은 5급 이하 공무원은 1.7% 인상하기로 결정했고, 4급 이상은 동결하며 장/차관급 고위 공무원은 10% 반납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2022년의 공무원 월급은 1.4% 인상 되었는데, 2023 공무원 월급은  9급 1호봉 기준으로 한달에 약 3만원 정도가 인상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구분
9급 공무원 봉급
차액
2022년
2023년 (1.7% 인상)
1호봉
1,686,500
1,715,171
28,671
2호봉
1,709,600
1,738,663
29,063
3호봉
1,748,300
1,778,021
29,721
4호봉
1,802,400
1,833,041
30,641
5호봉
1,872,000
1,903,824
31,824
6호봉
1,959,500
1,992,812
33,312
7호봉
2,046,500
2,081,291
34,791
8호봉
2,130,400
2,166,617
36,217
9호봉
2,210,700
2,248,282
37,582
10호봉
2,288,000
2,326,896
38,896
11호봉
2,361,700
2,401,849
40,149
12호봉
2,435,000
2,476,395
41,395
13호봉
2,505,200
2,547,788
42,588
14호봉
2,573,500
2,617,250
43,750
15호봉
2,638,600
2,683,456
44,856
16호봉
2,701,700
2,747,629
45,929
17호봉
2,763,300
2,810,276
46,976
18호봉
2,820,600
2,868,550
47,950
19호봉
2,877,100
2,926,011
48,911
20호봉
2,930,900
2,980,725
49,825
21호봉
2,981,700
3,032,389
50,689
22호봉
3,030,400
3,081,917
51,517
23호봉
3,076,900
3,129,207
52,307
24호봉
3,121,400
3,174,464
53,064
25호봉
3,164,000
3,217,788
53,788
26호봉
3,225,800
3,280,639
54,839
27호봉
3,235,500
3,290,504
55,004
28호봉
3,267,400
3,322,946
55,546
29호봉
3,298,100
3,354,168
56,068
30호봉
3,328,000
3,384,576
56,576
31호봉
3,357,400
3,414,476
57,076

참고로 9급 공무원 2022 봉급표에서 1.7%가 상승되면 최소 2,8000원정도에서 최대 5,7000원까지 급여 차이가 발생합니다.

구분
7급 공무원 봉급
차액
2022년
2023년 (1.7% 인상)
1호봉
1,929,500
1,962,302
32,802
2호봉
2,017,500
2,051,798
34,298
3호봉
2,110,700
2,146,582
35,882
4호봉
2,208,700
2,246,248
37,548
5호봉
2,310,100
2,349,372
39,272
6호봉
2,414,000
2,455,038
41,038
7호봉
2,518,500
2,561,315
42,815
8호봉
2,623,800
2,668,405
44,605
9호봉
2,723,900
2,770,206
46,306
10호봉
2,819,500
2,867,432
47,932
11호봉
2,909,600
2,959,063
49,463
12호봉
2,998,200
3,049,169
50,969
13호봉
3,082,300
3,134,699
52,399
14호봉
3,162,600
3,216,364
53,764
15호봉
3,239,400
3,294,470
55,070
16호봉
3,312,000
3,368,304
56,304
17호봉
3,381,700
3,439,189
57,489
18호봉
3,448,400
3,507,023
58,623
19호봉
3,511,200
3,570,890
59,690
20호봉
3,571,000
3,631,707
60,707
21호봉
3,628,100
3,689,778
61,678
22호봉
3,681,900
3,744,492
62,592
23호봉
3,734,100
3,797,580
63,480
24호봉
3,783,500
3,847,820
64,320
25호봉
3,830,300
3,895,415
65,115
26호봉
3,875,300
3,941,180
65,880
27호봉
3,913,200
3,979,724
66,524
28호봉
3,948,600
4,015,726
67,126
29호봉
3,982,800
4,050,508
67,708
30호봉
4,015,500
4,083,764
68,264
31호봉
4,046,200
4,114,985
68,785

참고로 7급 공무원 2022 봉급표에서 1.7%가 상승되면 최소 3,2000원정도에서 최대 6,8000원까지 급여 차이가 발생합니다.

2023년 공무원 실수령액은? 

그렇다면 9급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

앞서 보신 봉급표 기준은 기본금의 개념이라 볼 수 있으며 실제로는 추가 상여수당 / 초과수당 / 가계보전수당 / 특수근무수당 등 수당 14종 및 실비변상(급식비 / 직급보조비 / 명절휴가비 / 연가보상비) 등의 추가 되게 되는데요.

통상적으로 9급 1호봉을 기준으로 근무자 마다 차이는 있지만 약 180~200만원 수준의 월급을 받는다고 볼 수 있으며, 근무지별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