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공무원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2023년공무원정보 2023. 1. 31. 12:06

취업난이 이어지면서 요즘에는 공무원을 준비하는 공시생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공무원이 인기가 많은 이유가 바로 안정성과 노후 연금 때문에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오늘은 공무원 연금 수령액시기에 대한 포스팅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공무원 연금?

공무원연금은 공무원이 받는 연금을 말하는데요. 공무원은 일반인과 달리 국민연금이 아닌 공무원연금공단이 운영하는 공무원연금에 가입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연금이 아닌 공무원연금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퇴직 이후 재직기간과 재직 당시의 임금을 기준으로 연금을 수령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무원 연금 대상자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에 의한 공무원 _그 밖의 법률에 의한 공무원
* 공중보건의, 보건진료원
* 공익법무관
* 사법연수원생
_청원경찰 및 청원산림보호직 등 이 해당하며

최근 젊은세대가 많이 지원하는 경찰, 소방도 당연 해당됩니다

국가직이지만 제외되는 직업군인은 별도 군인연금의 대상자이며 국회의원 및 지자체 단체장 등 선출직 공무원 역시 제외 됩니다

반응형

.

공무원 연금 수령나이

지금 시기의 경우에는 10년 이상의 재직을 하고 이후 퇴직을 한 경우에 수령이 가능합니다. 이는 생을 마감할 때까지 정기적으로 수령나이에 따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수급이 가능한 해당 직원이 몇 년도에 퇴직을 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퇴직연도가 만약 2016~2021년도일 경우라면 연급 지급 연령은 60세 이후 2022~2023년이라면 61세로 늦춰집니다. 33년에 퇴직하는 경우에는 65세로 확인됩니다.

즉 퇴직 시기가 늦을 수록 수령 나이는 단계적으로 증가하니 이점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공무원 연금 예상 수령액 

공무원 연금 수령액은 재직기간, 퇴직년도등에 따라 상이하기때문에 약간씩 다를 수 있으나, 보통 2009년, 2015년, 2016년 세가지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공무원 연금 예상수령액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09년 이전 - 20년 이상 근무 시 평균 월보수액 x 0.5 + 평균보수월액 x 20년 초과 재직년수 x 0.02

 

2009년 이후 - 평균보수월액 x 재직년수 x 2.5% 2010년 이후 - 평균 보수월액 x 재직연수별 적용비율 x 재직비율 x 1.9%


  • 1996년 임용 → 190만원
  • 2016년 임용 → 130만원

위와같은 계산방법을 가지고 공무원으로 30년간 재직했다고 가정한다면, 공무원 연금수령액이 많이 줄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공무원 연금 수령액 계산 쉬운 설명 
수령액의 계산 하는 방법은 평균기죽소득월액 * 재직기간별 적용비율 * 재직간 * 연금지급률을 모두 곱하여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평균기준소득월액은 성과 상여금, 직무 성과금, 시간외 근무수당, 야간근무 수당 등을 포함하며 호봉에 수당을 모두 더한 세전 소득을 의미한다. 또한 복지포인트 기타 비과세 소득의 경우 제외한다.

9급공무원 현행유지시 / 개혁후
1996년 임용, 30년 재직 200만원 193만원
2006년 임용, 30년 재직 169만원 153만원
2016년 임용, 30년 재직 137만원 134만원

7급공무원 현행유지시 / 개혁후
1996년 임용, 30년 재직 243만원 232만원
2006년 임용, 30년 재직 203만원 177만원
2016년 임용, 30년 재직 173만원 157만원

 

2023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

공무원 연금은 5.1% 상승이 되었는데, 임금 인상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편 입니다.

이번년도 전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많이 상승이 되었습니다. 공무원 연금의 경우 상승률은 소비자물가지수에 의해서 결정 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필수품들의 평균가격을 의미합니다.

매년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률에 따라서 공무원연금이 동일하게 인상이 되는데, 금년도 전세계적인 물가 상승률로 인하여 5.1%라는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5년동안의 소비자물가지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상승률
1.5%
0.4%
0.5%
2.5%
5.1%

2022년 소비자물가지수는 5.1%이며, 해당 기준이 금년도 2023년에 반영이 되게 됩니다.

이제 이해되시지요? 만일 이러한 상승 기준없이 고정된 연금을 받게 되면 매년 물가는 상승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 힘들어 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상승 기준을 통해서 연금이 매년 올라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