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북 확성기 효과 알아보기

2023년공무원정보 2024. 6. 9. 21:54

북한이 오물을 담은 대남 풍선을 계속 살포하면서 정부가 6월 9일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습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에 따라 확성기를 철거한 지 6년 만인데요 오늘은 대북확성기가 무엇인지 대북확성기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가져보겠습니다.

 

대북확성기란?

대북확성기란 말그대로 대북 심리전의 일환으로 북한을 향해 송출하는 방송 일체를 뜻합니다.

반응형

대북확성기 역사

확성기 방송은 남북의 긴장관계에 따라 중단과 재개를 되풀이했습니다

1962년 먼저 북한이 휴전선에 확성기를 설치했고, 이듬해 한국도 서해 군사분계선(MDL)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다 1972년 남북이 분단 이후 처음으로 상호 비방, 무력도발 금지 등을 포함한 '7.4 남북공동성명'을 채택하면서 확성기 방송도 중단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1980년대 들어와 '아웅산 폭탄 테러' 사건 등으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확성기 방송도 다시 시작됐으며 이때부터 양측은 대형 전광판을 설치하고, 전단을 뿌리는 등 본격적인 '심리전'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이러한 긴장관계는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다소 완화됐고, 정상회담 후속조치로 2004년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6년 뒤 천안함 침몰 사건을 계기로 남측은 다시 확성기를 가동해 북에 대북 라디오 방송을 틀었으며 그러다 보름 만에 다시 양측이 합의해 방송을 중단했습니다

지난 2016년 1월 북한의 핵실험 직후 대북 확성기도 다시 가동됐으며 그리고 약 2년 3개월 만인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중단됐습니다

이후 최전방 지역 24곳에 고정적으로 설치돼 있던 대북 확성기는 9.19 합의에 따라 철거됐습니다 하지만 이달 초 한국 정부는 2018년 맺었던 9.19 군사합의의 모든 효력을 정지했습니다 

이에 따라 군사합의에 명시된 '상대방에 대한 일체의 적대행위 전면 중지'가 무력화되면서 대북 심리전 수단인 최전방 확성기 방송을 재개할 근거가 마련됐습니다 

대북확성기 효과 

북한 군부대에서 복무하다 남으로 넘어온 탈북 군인들 대부분 대북 확성기 방송 내용을 알고 있을 만큼 실제로 대북 심리전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을 통해  북한 실상을 다룬 뉴스나  기상정보, 가요 등을 송출하면  북한군 부대는 물론 남북 접경지역  주민들까지 청취 가능하며 요즘 군에 입대하는 북한 장병들은  한국영화나 드라마를  몰래 시청해 온 세대이기 때문에 확성기 방송은 과거보다  더욱 치명적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