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지방직 공무원 채용 시험일정
지방직 공무원 이란?
공무원의 종류는 굉장히 많죠? 예를들면 국가직공무원, 지방직공무원, 소방공무원, 경찰공무원, 교육행정직공무원, 계리직공무원 등이 있습니다
공무원이 될려면 공무원 시험을 쳐야합니다 공무원시험에는 국가직과 지방직 시험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비교
|
국가직공무원
|
지방직공무원
|
단위
|
전국적
|
각 지방 내
|
소속
|
중앙부처
|
지자체공공기관
|
행정안전부/법무부/국토부…
|
시청/구청/주민센터/시도교육청…
|
|
근무지
|
격년(2~3)으로 순환근무 시 전국단위
|
순환근무 시 지방내
|
문제출제
|
인사혁신처
|
인사혁신처+자체
|
특징
|
중앙부처 소속으로써 업무의 전문성 ↑
|
거주지제한○
|
국가직 공무원과 지방직 공무원 차이점은 근무처라고 볼수 있습니다 . 국가직에 채용되면 행정부 소속부처로 근무지가 결정되는데 세종, 서울, 과천, 대전 등에 속해 있는 정부종합청사 뿐만 아니라 시청이나 구청에 파견근무를 할 수도 있으며 출입국관리, 철도경찰, 관세 등 일부 직렬은 공항이나 항만에서 근무하게 됩니다
지방직 공무원은 각 지자체의 도청, 시청, 구청, 군청, 주민센터 등 에서 근무하게 됩니다 지방교육청은 공립학교나 교육청에서 근무합니다
국가직 합격자는 지역모집을 제외하면 부처 배치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부서배치는 고득점자 순위로 결정되게 됩니다 지방직은 본인이 선택한 지역에 합격하면 퇴직할때 까지 해당지역에서 근무가 가능하고 국가직은 전국 발령 이기 때문에 본인이 원하지 않은 지역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단, 서울시공무원의 경우도 지방직공무원에 속하지만 거주지제한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2023년 공무원 시험 일정
2022년 또한 연말이 다가옴에 따라 2023년 공무원 시험일정이 하나둘씩 발표되고 있습니다
9급의 경우는 2023년 3월 13일 월요일부터 3월 17일 금요일까지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지방직 공무원 원서접수가 가능한데요, 이후 원서접수가 마감되고 나면 6월 10일 토요일에 필기시험이 치러진다고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반면 7급 지방직 시험의 경우 9급에 비해 조금 늦게 치러지는 편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7급의 경우는 9급의 필기시험까지 종료된 이후 2023년 7월 17일 월요일부터 7월 21일 금요일까지 9급과 마찬가지로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지방직 공무원 원서접수가 가능합니다
물론 같은 급수 안에서 해당되는 일로 9급과 7급은 중복하여 지원이 가능합니다.